시작페이지설정즐겨찾기추가검색창추가 스터디홀릭로고 회원가입마이페이지에듀서포터즈
병원리뷰키즈카페리뷰유치원리뷰학원리뷰교재리뷰인강리뷰학교리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선정 청소년권장사이트
유아 초등 중등 고입 대입 Q&A 학습자료 커뮤니티 학교 학원 인강 교재 병원
학생/부모간 ID공유 절대금지
로그인 아이디저장 보안접속
학부모 게시판
학생 게시판
익명방
심플Q&A
전체 글 보기
익명 Talk!
심플 Q&A
학부모
자유게시판
유아맘
해외맘
교육칼럼
추천글
알뜰생활정보
주부9단 알찬정보
학생
특목고 지망생 모임
자유게시판
익명게시판
공부자극글&사진
캉느어록
선배들의 조언
토론
재미있는 사진영상
놀아보세 게임한판
조회시간 출석체크
영어공부
학부모 교실
학습지도
진로/진학지도
독서지도
사교육활용
인성교육
좋은부모되기
공지사항
전교등수 계산기

[학부모/교사] 자유게시판 (자녀와 ID 공유 금지)

 _ 자유게시판

목록
제목

<<한국의 파닉스 학습 문제와 대책>>

등록 LV47alex할배 조회 2224 추천 0 등록일 2022-07-27 오후 11:50:5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한국의 파닉스 학습 문제와 대책>>


<파닉스 학습이란>

기초적인 제나라 말을 할 줄 아는 아이에게 학교에서

제나라 글(단어) 읽기를 가르치는 발음 중심의 어학교수법이다.

. 제 나라 말로, 제 나라에서, 제 나라 글 읽기를 배우는 것이다.

 

한국식 파닠스 ?

기본적인 한국말이 되는 한국 아이가 한국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한국인 선생이 칠판에 단어(한글)를 써 두고

이를 보고 따라 읽게 가르치는 교수법.

 

미국식 파닠스 ?

기본적인 영어가 되는 영()국 아이가 자국 유치원()에 들어가서

미국인 선생이 칠판에 영어단어를 써 두고

이를 보고 따라 읽게 가르치는 교수법.

 

<한국의 파닠스 학습의 문제(1)>

(운영의 실태)

기본적인 영어 말이 전혀 되지 않는 한국 아이들에게 영어 단어를 써 놓고

한국인 선생이 읽어주고 학생이 이를 따라 읽게 하고 있다.

.

문제(1) : 외국어를 모국어 배우듯 가르치고 있다.

모국어는 처음 잘 못 배워도 주위의 말을 듣거나 지적으로

스스로 고쳐 나가다가 학교에서 완전한 발음을 익혀 굳히게 되는 것이다.

영어는 외국어로 일상에 주위에서 쓰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배울 수가 없다.

 

문제(2) : 영어의 발성법을 전혀 가르치지 않고 있다.

영어의 발성법과 발음법을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함에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 지도 없이 단어를 써 놓고 읽고 따라만 하게 하니

학습자들은 정확한 음을 배울 수 없어 대강 배우고 있는 게 현실이다.

 

문제(3) : ()사의 영어 발음이 천차만별이다.

()사 자체가 일정한 교본에 의한 발성법과 발음법을 배우지 않고

듣기만 해서 배운 음이라 발음이 제각각이다.

더욱이 어학연수 등 단기간의 영미 권 체재에서

듣고 익힌 음을 그대로 한국에서 쓰고 있어

교사 자신도 스스로의 발음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파닠스 학습의 문제(2)>

(강의 내용 실태)

문제(1) : 모음을 a, e, i, o, u (아 애 이 오 우)라고 가르치는 곳이 있다.

.

(1)에 대한 나의 의견 :

학생들에게 기본 모음은 무엇이며 어떻게 읽는지 물어 보면

거의가 이렇게 읽고 있다. 이건 일본식 발음의 잔재로 잘 못이다.

.

영한사전은 한국인이 일본에 건너가 일어를 배우고

다시 일어를 통해 영어를 배운 다음 만들어 진 것이다.

해서 발음을 이렇게 하는 것은 일본식 영어 발음의 잔재다.

.

발음도 o[]라는 것은 없다. o/ou/[오우]가 있다.

알파벳엔 모음은 기본적으로 5 개이고

a[애이] e[이이 i[아이] o[오우] u[이우우]로 읽어야 한다.

여기에 y 를 넣어 6개로 공부를 해야 한다.

 

문제(2) : ow[아우]로 난다고 가르친다.

 

(2)에 대한 나의 의견 :

now/nau/[나우], know/nou/[노우]로 다르게 난다.

.

문제(3) : ou[아우]로 난다고 가르친다. (*ebs 교육방송)

 

(3)에 대한 나의 의견 :

house/hause/[하우스], you/ju:/[이우우], could/kud/[]

tough/tʌf/[^] cough/kɔ:f/[^어엏] nour.ish/nə́:r.iʃ/[́.()리쒸]

== 일정 기준이 없으면 원칙이 아니다. ==

.

문제(4) : “flowerflour의 발음이 같은가 다른가?”

다음은 영어 학원(30 여 곳)과의 질문 응답 실 예()이다.

다르다!”는 답을 준 학원은 오늘 현재까진 대한민국엔 없다.

.

== 아래는 영어학원의 답 글 들이다. ==

답 글(1) :

발음에는 차이가 없고 문맥상 흐름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

답 글(2) :

1) 어원이 같아 철자는 달라도 발음은 같다.

2) 한글도 철자는 달라도 발음이 같은 게 많다.

답 글(3) :

1) 발음부호도 꼭 같다.

2) flower / fláuər //-ə-/는 중성모음 현상이 일어나 없는 것과 같다.

==

문제(4) 대한 나의 답은 이렇다.

발음부호 : flow.er / fláuər / ==> / fláu.ər /(o)

/ fláu.-/에 강세를 주고 /-.ər /는 약하게 읽는다.

 

flour / flauər /(x) ==> / flauər /(o) or / flaur /(o)

/-ər/ 는 뒤의 r음을 내기 위한 것으로 사선으로 하거나 없어야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높이로 발음한다.

 

1. (1) 영어는 철자가 같아도 발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동철이음이의어)

: 품사 또는 어휘를 달리 하는 경우

live /liv/[()] v. & live /laiv/[()라잏] a.

(2) 영어에 철자가 다른데 발음이 같은 경우.(동음이의어)

to /tu:/[투우] = two /tu:/[투우]

.

2. 한글은 소리글자이다. 철자가 다르면 당연히 소리가 다르게 난다.

해서 영어는 발음부호가 필요하고 한글은 발음부호가 필요 없다.

발음부호란 외국인이 영어를 배울 때 쓰는 것으로 영어권 자국인은 쓰지 않는다.

.

3. 발음부호를 보고도 바르게 읽질 못 하고 단어에 음절구분도 인식을 못한다.

/-ə-/를 중성모음 운운 하는 것은 2음절 단어는 해당이 안 된다.

이는 묵음으로 하여도 단어의 발음에 차이가 없어야 한다.

: fam.i.ly/fǽm.ə.li:/[^́..()리이]==>/fǽm.ə.li:/[^́..()리이](o)

di.a.ry/dái.ǝ.ri:/[다이 ́..()리이]==>/dái.ǝ.ri:/[다이 ́..()리이](o)

만일 두 음절 단어에서 이런 일이 생기면 두 음절 단어가 한 음절 단어로

되어 두 음절 단어에서 있던 강세가 없어지니 발음이 아주 다르게 된다.

==

왜 학원에선 이렇게들 대답을 할까?

발음부호에 대한 공부는 외면하고 있다.

더욱 듣기만 해서는 단어에서 강약과 장단을 구별하기란 쉽지 않다.

현 사전의 음절구분 표기 발음부호엔 없는 것도 큰 문제가 된다.

.

더 큰 문제는 독자의 자세다. 시험에 나오지 않으면 중요치 않은 것이다.

이런 문제는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 자초지종은 나중이고

그래서 요점이 뭐야?” 하고 결과 위주의 행태가 사실 상 큰 문제라고 본다.

.

문제(5) : 한국인의 꼭 틀리게 읽는 10 단어라면서 읽고 따라 하게 한다.

: battery, camera

 

(5)에 대한 나의 의견 :

몇 번을 듣고도 내가 정확히 발음하는 것인지 아닌지 자체를 모르겠다.

확실하게 배워야 뇌에 저장이 되고 말이 나온다.

1) 단어의 음절을 정리하자. battery ==>bat.ter.y

2) 발음부호에 음절을 정리하자. /bǽtəri/ ==>/bǽt.ər.i:/

3) 부호에 한글 토를 달아보자. /bǽt.ər.i:/[^. ́.()리이]

4) /æ/의 설명은 (별도 설명 요함).

.

5) 단어의 가운데 동일 자음이 겹치면 강음절의 자음만 발음한다.

6) t의 발음법은 (별도 설명 요함).

7) /r/ 의 발음은 (별도 설명 요함).

8) 단어 끝의 y 발음은 (별도 설명 요함).

*cam.er.a/kǽm.ər.ə/[^́..()] <==설명 생략

==

==

== 미국의 파닉스 교육의 실태 :

==

다음 단어들은 뜻(어휘)이 없는 발음 학습용 글자의 모임들로

미국의 e.s.l.(english second language)

유치원(kindergarten) 발음 연습용 단어 중 일부이다.

==

mig yef tun wos vov rij jeb daf pef

em hof dal yom uv wog bel rev lev

puc vup doj nes joj teg mes jas quack --27

==

교실에선 위 단어들을 칠판에 써놓고

두 선생이 한 분은 앞에서 위 단어를 몇 번씩 읽고

다른 분은 학생(15 명 내외)들 앞에서 개개인의 실제 발음하는 입을 보고

선생이 자기 입놀림을 보여주며 따라 하게 하면서 가르치는 글 읽는 연습이다.

.

다음 문장은 선생이 아이들에게 하는 말인데

이 정도의 말은 아이들 모두가 알아들어야 한다.

==

hello, everyone.

ill call your names.

its too hot in here.

lets have the door open a bit.

can you clean the board?

--- 등 등

==

<한국의 파닠스 학습 대책>

==

“a” 에만 7개의 발음이 단어별로 달리 나온다.

cat/kæt/[^] may/mei/[매이] calm/kɑ:m/[카암] call/kɔ:l/[^어얼]

a.bate/ə.béit/[.배잍 ́] a.ble/éi.bl/[애이 ́́.브을] care/kɛər/[케어()]

...

여기서 무슨 원칙이 있는 양 어떤 모음은 어떻게 읽으라고 가르치는가?

설명의 편의상 붙인 한글 토를 바탕으로 구별이 되게 읽어보자.

한글을 보고도 일정한 발음이 어려운데 어찌 소리만 듣고 배우나?

발음부호를 보고 소리를 들으면서 동시에 배워야 한다.

...

한국의 파닠스 학원백해무익하다!

옆집 애가 가니 나의 애도, 돈 시간 들여

무엇을 얻으려고 파닠스 학원에 보내는가?

이에 따른 국가적인 손실은 얼마나 될까?

==

한글은 소리글자이기 때문에 발음부호가 필요 없다.

영어는 철자가 같아도 다른 발음이 나는가 하면

철자가 같아도 뜻도 다르고 발음도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의 일률적인 영어 말(발음) 학습을 위해 발음부호가 있다.

...

그런데 왜 당국은 이렇게 가르치지 않는가?

영어는 국제적인 공용어가 되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물론

한 나라도 국제간의 경쟁시대에서 지탱을 위해서도

영어 말 구사력은 높여야 한다. 이는 국력과 직결 된다.

.

발음부호로 배우는 국가적인 영어발음 교본을 마련하자!

이걸 바탕으로 초등생을 가르치는 영어 교사를 양성하자!

영한사전 단어에 있는 음절표기를 발음부호에도 표기케 하자!

10 년 후면 전 국민의 영어 구사력이 확 달라진다.

== the end ==

 

 

LV47alex할배 님의 다른 글 [더 보기]
중고생 영어 Upgrading 학습법 (제 04 회)
<초 간단 기초영어>(036회)
학부모 및 강사 선생님께 드립니다.
중고생 영어 Upgrading 학습법 (제 03 회)

나만의 한 줄 프로필을 등록해보세요! (클릭!)
목록
전체글 보기
제휴 및 광고 문의
사이트 후원안내
방송통신 심의 위원회 청소년 권장사이트

이용약관gray개인정보취급방침gray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gray

이용문의gray제휴문의gray광고문의gray무료학원광고 신청&관리gray에듀서포터즈

맨 위로
스터디홀릭 하단 스터디홀릭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선정한 <청소년권장사이트>입니다.
Copyrightⓒ Studyholic.com All Rights Reserved.
청소년권장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