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설정즐겨찾기추가검색창추가 스터디홀릭로고 회원가입마이페이지에듀서포터즈
병원리뷰키즈카페리뷰유치원리뷰학원리뷰교재리뷰인강리뷰학교리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선정 청소년권장사이트
유아 초등 중등 고입 대입 Q&A 학습자료 커뮤니티 학교 학원 인강 교재 병원
학생/부모간 ID공유 절대금지
로그인 아이디저장 보안접속
학부모 게시판
학생 게시판
익명방
심플Q&A
전체 글 보기
익명 Talk!
심플 Q&A
학부모
자유게시판
유아맘
해외맘
교육칼럼
추천글
알뜰생활정보
주부9단 알찬정보
학생
특목고 지망생 모임
자유게시판
익명게시판
공부자극글&사진
캉느어록
선배들의 조언
토론
재미있는 사진영상
놀아보세 게임한판
조회시간 출석체크
영어공부
학부모 교실
학습지도
진로/진학지도
독서지도
사교육활용
인성교육
좋은부모되기
공지사항
전교등수 계산기

영어공부

목록
제목

영단 바르게 읽기(제 02 강)

등록 LV47alex할배 조회 154 추천 0 등록일 2025-04-14 오후 11:38:01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영단 바르게 읽기(02


<영어 발음부호별 발성()법 해설>

( english phonetic symbols )

영한사전(대소 다름)엔 약 25만 단어에 43종류의 발음부호가 있다.

2개는 동음으로 처리 무방하여 41(모음 16, 자음 25)를 익히면 된다.

==

== 글의 순서 ==

<(01) 영어 발음부호표> <(02) 발음부호 발성()법 해설>

<(03) 발음부호 및 한글 토 읽는 법> <(04) 한글 토에서 알아 둘 것>

==

<(01) 영어 발음부호표>

==

(1). 기본모음 (no 01-10) (2). 기타모음 (no 11-17)

. 홑자음 (no 18-35) . 겹자음 (no 36 43)

* 기본모음 : a/에이 e/이이 i/아이 o/오우 u/이우우

(1). 기본모음/vowels

. 홑자음/consonants

. 겹자음/digraphs

01. a /æ/[^] Ǎ()

18. b /b/[/]

36. ng / ŋ /[]

02. e /e/[] Ě()

19. d /d/[/]

37. ng / ŋ.g /[ㅇㄱ/]

03. i /i/[] Ǐ()

*20. f /[ㅎㅍ/]=ph

38. nk / ŋk /[ㅇㅋ/]

04. o /a/[] Ǒ()

21. g /g/[/]

*39. ch / tʃ /[/]=tch

05. u /ʌ/[^] Ǔ()

*22. h /h/[]

*40. sh / ʃ /[//]

06. a /ei/[애이] Ā()

23. j /dʒ/[/]=g

41. th / ð /[ㅎㄷ/]

07. e /i:/[이이] Ē()

*24. k /k/[/]-c,ck

*42. th / ɵ /[ㅅㄷ/]

08. i /ai/[아이] Ī()

25. l /l/[()//]

43. su / ʒ /=/ dʒ /와 동음

09. o /ou/[오우] Ō()

26. m /m/[/]

10. u /ju:/[이우우] Ū()

27. n /n/[/]

" ^ " /둘을 붙여 하나로 발음

(2). 기타모음

*28. p /p/[/]

 

11. /ɛ/=/e/[]와 동음

29. r /r/[()]

 

12. /ɔ/[^] au,aw,a,o

*30. s /s/[/]

no 01~05 = 단모음

13. /ɔi/[^어이] oi,oy

*31. t /t/[/]

no 06~10 = 장모음

14. /u/[] oo,u

32. v /v/[ㅎㅂ/]

번호 앞 " * " 무성음(9)

15. /u:/[우우] oo

33. w /w/[

c c ( /s/ /k/ ) 로 됨

16. /au/[아우] ow,ou

34. y /j/[]

q q ( /kju:/ ) 로 됨

17. /ə/[]

35. z /z/[ㅅㅈ/]

x x ( /eks/ /z/ ) 로 됨

 

*발음부호는 ==>기호로 칭하기도 하나, (/, 순서)적인 의미는 기호(記號),

그 외엔 부호(符號)로 쓰는 것이 타당하다. : 국회의원 입후보, 기호 3 !

 

*한글 토는 ==> 발음부호를 한글로 설명 한 것.

어떤 단어의 음(소리)을 들으면서 이거다 저거다 할 때

넘지 말아야 할 발음의 한계를 한글로 그어(일러) 주는 것으로

들리는 음을 늘 일정하게 하려는 학습 편의상 붙인 것임.

==

==

<(02) 발음부호 발성()법 해설>

==

= 43개의 발음부호표 순으로 발음()법과 한글 토를 설명한다.

= 영어 말의 음은 한국 말의 음과는 발성법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알자.

= 단어의 한글 토를 보면서 smart phone으로 음성을 듣고 익히자.

: gap/gæp/[^]

.

= 발음부호는 / / 또는 ( )에 넣어 글자와 구분 한다.

자음 21개 중 15 개는 알파벳과 발음부호의 모양이 같고

6 개 중 5 개는 아주 다르고, 1 개는 일부가 다르다.

.

c c ( /s/ /k/ ), , j j ( /dʒ/ ), q q ( /kju:/ )

y y ( /ai/ /i/ /i:/ /j/ ), x x ( /eks/ /z/ )

g g ( /g/ /dʒ/ )

==

* 아래 해설의 번호는 발음부호표 번호임. *(), ()

==

01. Ǎ /æ/[^] :

/æ/[^][]하고 시작하여 빠르게 []하여

/e/[]/a/[]가 섞인 것 같은 하나의 음으로 만들자.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

 

둘을 빨리 붙이지 않으면 [][] 중 한쪽으로 들린다.

*둘을 붙여 하나의 음을 만들라는 뜻에서 ‘ ^ ’ 부호를 쓴다.

이런 한글 토는 한글 규정에는 없으나 학습 편의상 사용한다.

.

*참고 : [a+] 또는 [+a+]에서 이런 음이 난다.

*am/æm/[^] at/æt/[^] and/ænd/[^안드]

*gap/gæp/[^] black/blæk/[브을애^] bag/bæg/[^]

*자음은 둘이 겹쳐 있어도 좋다.

 

*참고 : 음절별 영단 구분

) [모음+자음](1) & [자음+모음](2)

== 단음절 단어라고 하며 강세가 없음. 자음은 둘이라도 좋다.

(1)은 모음이 단음이 난다. 부호표 1~5까지

(2)는 모음이 장음이 난다. 부호표 6~10까지

==

) [자음+모음+자음](1) & [자음+모음+자음+e](2)

== 한 음절 단어라고 하며 강세가 없고 자음은 둘이라도 좋다.

(1)은 모음이 단음이 난다. 부호표 1~5까지

(2)는 모음이 장음이 난다. 부호표 6~10까지

반드시 e 가 있어야 하고 발음은 하지 않음.

==

) 이외 두 음절 및 두 음절 이상 단어로 나눈다.

강세가 한 번 또는 두 번 오는 경우가 있다.

==

==

02. Ě /e/[] :

/e/[]는 한글의 [] 그대로 발음하면 된다.

.

*참고 : [e+] 또는 [+e+]에서 이런 음이 난다.

*egg/eg/[] else/els/[앨스] end/end/[앤드]

pen/pen/[] step/step/[스탶] when/hwen/[우앤]

==

03. Ǐ /i/[] :

/i/[]는 한글의 []음과 비슷할 뿐 정확한 []는 아니다.

입술을 앞으로 약간 내밀면서 짧게 []한다.

실제 음은 [], [] 중 딱히 이것이다 할 수 없는 하나에 속한다.

.

*참고 : [i +] 또는 [+i+]에서 이런 음이 난다.

*if/if/[] in/in/[] it/it/[]

sit/sit/[] milk/milk/[밀크] him/him/[]

==

04. Ǒ /a/[] :

/a/[]는 자연스럽게 입술을 동그랗게 하여 []하면 된다.

.

*참고 : [o+] 또는 [+o/a+]에서 이런 음이 난다.

*odd/ad/[] on/an/[] ox/aks/[앜스]

mom/mam/[] pop/pap/[] what/hwɑt/[우앝]

.

*참고 :

1) a 또는 o 에서 ́:/ 로 되어 있는 것은 /a/[]로 고쳐 읽자.

2) /a:r//a/[] /:r/[()]로 분리된다.

==

==

05. Ǔ /ʌ/[^] :

/ʌ/[^][]에서 []로 빠르게 하여 하나의 음이 나오게 한다.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

앞 뒤 둘을 빨리 붙이지 않으면 [][] 중 한쪽으로 들린다.

 

*[]가 나오게 입을 만든 다음 빠르게 소리 내어 [-^]한다.

이 때 그냥 []하는 소리와 스스로 구분을 해 보자.

.

*참고 : [u+] 또는 [+u+]에서 이런 음이 난다.

*up/ʌp/[^] us/ʌs/[^아스] of/ʌv/[^]

cup/kʌp/[^] hug/hʌg/[^] mug/hʌg/[^]

==

==

06. Ā /ei/[애이] :

/ei/[애이]는 한글의 [애이]를 그대로 읽으면 된다.

[에이]로 해도 좋다. 여기선 [애이]로 통일 한다.

이유 : 원어민은 이 둘을 전혀 구분도 못하고 한국인도 정확히 구분키 어렵다.

.

*참고 : [+ay] 또는 [+a++e]에서 이런 음이 난다.

*day/dei/[대이] may/mei/[매이] pay/pei/[패이]

came/keim/[캐임] make/meik/[매잌] name/neim/[내임]

==

==

07. Ē /i:/[이이] :

/i:/[이이][-]한 다음 입을 옆으로 벌리면서 [-]한다.

i /i/[]와는 아주 다르다.

입을 옆으로 벌리지 않고 소리만 거듭하면 바른 음이 나오지 않는다.

.

*참고 : [+e] 또는 [+e++e]에서 이런 음이 난다.

*be/bi:/[비이] she/ʃi:/[씨이] the/ði:/[디이]

eve/i:v/[이잏] rede/ri:d/[()리읻] steve/sti:v/[스티잏]

.

*참고 : e.lect/i:.lékt, i.-/[이이.()랰트 ́] or [.()랰트 ́] (ok)

/i/[] 약음은 뒤에 강음절이 오면 장, 단음이 듣기에 큰 차이가 없다.

/i/[] 음이 단어의 끝이라면 가능하면 장, 단음을 제대로 해주는 것이 좋다.

.

예로 baby 가 영한엔 /béi.bi/[배이 ́.]로 되고 미국은 /béi.bi:/[배이 ́.비이] 이다.

단어의 끝 음은 문장에서 뒤에 오는 단어의 발음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 단어장에 나오는 y가 단어의 끝에 오면 /i/로 된 것은 /i:/로 고쳐 읽자.

==

==

08. Ī /ai/[아이] :

/ai/[아이]는 한글의 [아이]를 그대로 읽으면 된다.

.

*참고 : [+i] 또는 [+i++e]에서 이런 음이 난다.

*hi/hai/[하이] fri/frai/[()라이] my/mai/[마이]

like/laik/[()라잌] mike/maik/[마잌] shine/fain/[싸인]

.

*참고 : [+ild] [+ind] [+ight]에서 이런 음이 난다.

*wild/waild/[우아일드] wind/waind/[우아인드] v. light/lait/[()라잍]

예외 : gild/gild/[길드] wind/wind/[우인드] n.

==

==

09. Ō /ou/[오우] :

/ou/[오우]는 한글의 [오우]를 그대로 읽으면 된다.

.

[]만 발음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금물! []로만 나는 부호는 없다.

*no/nou/[노우](o) [](x) go/gou/[고우](o) [](x)

.

*참고 : [+o] 또는 [+o++e]에서 이런 음이 난다.

*go/gou/[고우] no/nou/[노우] so/sou/[소우]

home/houm/[호움] lone/loun/[()로운] mole/moul/[모울]

==

==

10. Ū /ju:/[이우우] :

/ju:/[이우우]는 한글의 [이우우]를 그대로 모두 읽으면 된다.

[이우우]를 붙여 [유우] []로 읽는 것은 잘 못이다.

.

입술을 조금 내밀면서 [--], 다시 입술을 약간 벌리면서[--]하고

끝으로 다시 옆으로 더 벌리면서 [--]한다.

.

거울을 보고 입이 세 번 변하는지 보자.

입 모양이 바뀌지 않으면 바른 음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

*참고 : [+ew] 또는 [+u++e]에서 이런 음이 난다.

*few/fju:/[피우우] knew/nju:/[니우우] news/nju:z/[니우우]

cute/kju:t/[키우웉] mute/mju:t/[미우웉] mule/mju:l/[미우울]

==

==

11. /ɛ/[] = /e/[] :

/ɛ/[]/e/[]와 같이 하면 된다.

[][]는 한국인도 정확히 구별키 어렵고 그들 또한 구별치 못한다.

.

*참고 : [ air, are ]에서 나온다.

*fair/fɛər/[페어()] pair/ɛər/[페어()] fare/fɛər/[페어()]

pare/ʃɛər/[페어()] mare/mɛər/[메어()] share/ʃɛər/[쎄어()]

==

==

12. /ɔ/[^] :

/ɔ/[^][]하는 입을 만들고 턱을 떨어트리면서 빠르게 []한다.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

.

턱에 손을 대고 발음 시 턱이 아래로 떨어지는 느낌이 와야 한다.

[][오우]는 턱이 아래로 움직이는 걸 느끼지 못한다.

.

*참고 : [au, aw]에서 나온다.

*au.gust/ɔ́.gǝst/[^́.거스트]

au.to/ɔ́t.ou/[^́.오우] au.tumn/ɔ́t.ǝm/[^́.]

law/lɔ/[()^lawn/lɔn/[()^draw/drɔ/[()^]

 

*참고 : “a, o”에도 /ɔ/[^]음이 나는 경우가 있다.

ball/bɔl/ call/kɔl/ or/ɔr/ nor/nɔr/

==

==

13. /ɔi/[^어이] :

/ɔi/[^어이]/ɔ/[^]음을 만들고 입술을 약간 내밀면서 빠르게 []한다.

.

*참고 : [ oi, oy ]에서 나온다.

*oil/ɔil/[^어일] boy/bɔi/[^어이] toy/tɔi/[^어이]

 

*oil/ɔil/[^어일] and wa.ter/wɔ́t.ər/[우오^́.()]

do not mix/miks/[밐스]! / 기름과 물은 섞이지 않는다!

==

==

14. /u/[] :

/u/[][]하는 입을 만들고 입술을 약간 내밀며 []하는 모양으로

[]한다.

 

*참고 : [ oo, u(많지 않음) ]에서 나온다.

* book/buk/[] cook/kuk/[] good/gud/[]

put/put/[] pull/pul/[] bull/bul/[]

==

==

15. /u:/[우우] :

/u:/[우우][-]하고 다시 입술을 옆으로 벌리면서 [-]한다.

반드시 입을 옆으로 벌려야 한다. 입은 움직임 없이 소리만 거듭하면 안 된다.

.

*참고 : [ oo ]에서 나온다.

* food/fu:d/[푸욷] tool/tu:l/[투울] too/tu:/[투우]

그러나 good, foot /u/[]이다. 영어는 예외가 많다.

==

==

16. /au/[아우] :

/au/[아우]는 입을 동그랗게 벌리고 [-]하고

다시 입술을 약간 내밀며[-]한다.

.

*참고 : [ ow, ou ]에서 나온다.

*now/nau/[나우] how/hau/[하우] flow.er/fláu.ər/[프을아우 ́.()]

flour/flauər/[프을아우()] house/haus/[하우스] noun/naun/[나운]

==

==

17. /ə/[] :

/ə/[]는 다음 같은 네 가지로 발음이 된다.

(1) 모든 모음이 강세가 없는 약음일 때 나온다.

* a.go / ə. góu /[ . 고우 ́ ]

이는 정확히는 [][]도 아닌 음이다.

아기들의 엄마[]은 정확히는 [][]

아닌 음(소리)으로 입을 다물었다 벌리면 나오는 음이다.

* to.ma.to/tə.méit.ou/[.매잍 ́.오우](o) [.매잍 ́.오우](o)

.

(2) 세 음절 이상 단어에서 가운데 모음이 하나로 (-ə-)로 표시 된 것은

생활어에서 묵음으로 하는 경향이 있어 묵음으로 해도 좋다는 표시다.

이런 음을 중성모음이라고 한다.

* fam.i.ly/fǽm.ə.li:/[^́..()리이] =>[^́.()리이]

* cred.i.ble/kréd.ə.bl/[()́.. 브을] =>[()́.브을]

.

(3) r 앞에 일정 모음이 있는 경우 :

flow.er /fláu.ǝr/로 하고 [프을아우 ́.()]

r 앞에 일정 모음이 없는 경우 :

flour /flauǝr/ 또는 /flaur/가 된다.

(ou /au/로 발음되고 r 앞 다른 모음은 없다)

/ə/ 는 약하지만 [] 발음을 내고

/ə/ 사선 으로 된 것은 입만 그렇게 만들고 소리는 내지 않는다.

아주 작은 []는 좋다.

시중 어떤 사전엔 flour /flauǝr/(x) /fláur/(x) 이는 잘 못이다.

.

(4) /ɛər/로 된 세음이 하나로 되는 경우의 /ə/ 는 정상적으로 []로 발음한다.

또한 강음절이 되는 경우도 있다.

* af.fair/ə.fɛ́ər/[.페어()ㄹ ́]

==

==

18. b /b/[/] :

[]

1) 뒤에 모음이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bag/bæg/[^] ba.by/béi.bi:/[배이 ́.비이]

2) 앞에 모음이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cab/kæb/[^]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bread/bred/[()]

2) 앞에 자음이 오면 *verb/vərb/[()]

==

==

19. d /d/[/] :

[]

1) 뒤에 모음이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dodge/dɑdʒ/[다쥐]

2) 앞에 모음이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dad/dæd/[^]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dream/dri:m/[()리임]

2) 앞에 자음이 오면 *hand/hænd/[^안드]

==

20. f /f/[ㅎㅍ/] :

/f/[ㅎㅍ/]/p/[]가 되는 입술을 만든 다음 아래 입술을 위 입술

안쪽으로 살짝 넣어 입을 물었다가 바람 소리를 내면서 [] 한다.

한글 맞춤법엔 맞지 않는다. 학습의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다.

.

gh, ph /f/ 음이 난다.

1) gh 가 단어의 처음에 있을 때 ==>

*ghast.ly/gǽst.li:/[^아스트 ́.()리이] ghost/goust[고우스트]

2) gh 가 단어의 가운데나 끝일 때 ==>

*laugh/læf/[()^] e.nough/i.nʌ́f/[.^ㅍ ́]

3) ph 가 단어의 시작이나 가운데 일 때 ==>

*phone/foun/[포운] pho.to/fóut.ou/[포웉 ́.오우]

.

[ㅎㅍ]

1) 뒤에 모음이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fan/fæn/[^] fa.ble/féi.bl/[패이 ́.브을]

2) 앞에 모음이면 그 모음 받침으로 붙인다.

*wife/waif/[우와잏]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free/fri:/[()리이]

2) 앞에 자음이 오면 *golf/gɔlf/[^]

.

*참고 : pine/pain/[파인] fine/fain/[파인]의 발음이 구분되게 연습하자.

==

==

21. g /g/[/], g/dʒ/[/()] :

ga,o,u를 만나면 /g/가 난다.

*gap/gæp/[^] *got/gat/[] *gun/gʌn/[^]

뒤에 e,i,y가 오면 /dʒ/가 원칙. no 23. /dʒ/[/()]에서 설명.

.

/g/[/]에서

[]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girl/gərl/[()] guide/gaid/[가읻]

2)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bag/bæg/[^] tag/tæg/[^]

.

[]

뒤에 자음이 올 때.

*gril/gril/[()] green/gri:/[()리인]

.

*참고 : gh 는 단어에 따라 /f/ /g/ 도 난다.

==

==

22. h /h/[] :

(1) 언제나 뒤의 모음 앞에 붙여 읽는다.

*hand/hænd/[^안드] hide/haid/[하읻] who/hu:/[후우]

hab.it/hǽb.it/[^́.]

.

(2) 단어에 따라 발음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 wh "로 시작하는 단어는 대부분 h 를 묵음으로 하여

발음부호에 사선 / h /로 표기하고 있다. (미식발음)

*wheel.chair/hwí:l.tʃɛ̀ər/[우이일 ́. 체어()ㄹ ̀] what/hwat/[우앝]

.

humor는 미식이고, humour는 영국식으로 같은 어휘의 단어다.

발음에서 /hjú:.mər/[이우우 ́.()]()

/hjú:.mər/[히우우 ́.()]()

.

이런 경우 둘의 어느 발음을 해도 좋다. 그러나 둘을 다 모르고 있으면

영국식 음은 귀에 들려도 미국식 발음은 귀에 들어오지 않는 차이가 있다.

.

미국식 발음을 배우면 영국식 발음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그래서 미식 발음을 고집한다. 단 영국에서 살려면 경우는 달라진다.

.

(3) h 는 앞에 c 가 와서 ch, tch 이 되면 /tʃ/이 된다.* chick.en/tʃík.in/

(4) h 는 앞에 g 가 와서 gh 이 되면 /f/가 된다. * laugh/læf/

(5) h 는 앞에 p 가 와서 ph 가 되면 /f/가 된다. * phone/foun/

==

==

23. j /dʒ/[/] :

/dʒ/

1) j/dʒ/로 된다. *jack/dʒæk/[^]

2) g 가 뒤에 e i y를 만나면 /dʒ/가 된다.

*gen.tle/ʤén.tl/[́.트을] *gin.ger/ʤín.dʒər/[́.()] *gym/ʤim/[]

*예외(get, gild )가 있음.

3) dge /dʒ/ 가 된다.

.

[]

1) 뒤에 모음이 오면 모음 앞에 붙인다.

*job/dʒɑb/[] jack.et/dʒǽk.it/[^́.]

2) 음절의 끝에서 뒤에 모음이 오면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judg.er/dʒʌ́dʒ.ər/[^́.()]

.

[()]

1) 음절의 끝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judg.ment/dʒʌ́dʒ.mənt/[^아쥐 ́́.먼트]

2) 단어의 끝 자이면

*dodge/dɑ:dʒ/[다아쥐] * [][]로 해도 좋다.

* no 43 /ʒ/=/dʒ/와 동음 처리. = su, si에서 온다.

*meas.ure/méʒ.ər/[́.()]

==

==

24. k /k/[/] :

[]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keep/ki:p/[키잎] king/kiŋ/[] knock/nɑk/[]

2)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cake/keik/[캐잌] fake/feik/[패잌]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klunk/klʌŋk/[크을어^앙크]

"k" 다음에 자음이 오는 경우는 극히 몇 단어가 있을 정도다.

*knock/nɑk/[] 같은 kn /n/으로 발음이 된다.(n 편 참조)

.

2) cr 같이 c 다음에 r 이면 /kr/[()]가 된다.

*cream/kri:m/[()리임] crown/kraun/[()라운]

.

3) cl 같이 c 다음에 l 이면 /kl/[크을]이 된다.

*clean/kli:n/[크을이인] clip/klip/[크을잎]

.

"c"가 뒤에 a,o,u가 오면 /k/음이 난다.

*cake/keik/[캐잌], cop/kap/[], cup/kʌp/[^]

.

"c"가 음절의 끝이면서 뒤에 자음이 오거나, 단어의 끝이면 /k/음이 난다.

*pic.nic/pík.nik/[́.]

예외 : par.tic.i.pate /pɑr.tís.ǝ.pèit/ vi. 참가하다, 관여하다, 관계하다

.

"q" /kju:/[키우우]로 발음 된다.

.

"sch-" /k/[]음이 나오는 수가 있다.

*school/sku:l/[스쿠울] sched.ule/skédʒ.u:l/[스캦 ́.우울] schol.ar/skάl.ǝr/

==

==

25. l /l/[()//] :

[()]

l 이 단어(음절)의 첫 자 일 때 :

혀가 입천장에 닿아 []을 만든 다음 뒤 모음에 을 붙이자.

소리는 없이 입만 그렇게 만들라고 ( )에 넣었다. 작은 소리는 좋다.

*la.bel/léi.bəl/[()래이 ́.] light/lait/[()라잍]

o.lym.pic/ou.lím.pik/[오우.()́.]

.

[]

l 이 자음의 뒤에 오면 혀를 입천장 앞쪽에 붙이면서 하고 읽는다.

*please/pli:z/[프을이이]*[프을][]할 때 혀가 입천장에 닿아야 한다.

*please/pli:z/[플이이](x) [플이](x) [플리이](x)

.

[]

l이 같은 음절에서 모음 다음에 오면 을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읽는다. *bolt/boult/[보울트] ==> []할 때 혀가 입천장에 닿아야 한다...

.

* 혀를 입천장 어디에 닿게 하는가에 따라 들리는 발음은 [] [애을]

[애어을]로 들린다. [애을]이 좋다. 그러나 둘을 빠르게 붙여야 한다.

.

* l 이 단어의 끝에 올 때 예 nail/neil/[내일]이지만 실제 발음 시는

[내이어을]로 하면 더 좋다. [내이-]를 읽고 [-어을]은 둘을 빠르게

소리는 약하게 발음하면서 혀가 입천장에 닿게 한다.

==

==

26. m /m/[/] :

[]

1) 한 음절에서 뒤에 모음이 오면 앞에 붙인다.

* mom/mam/[] mop/map/[] morn.ing/mɔ́r.niŋ/[^()ㄹ ́.]

2) 한 음절에서 앞에 모음이 오면 받침으로 붙인다.

* ham/hæm/[^]

.

[]

한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으로 읽는다.

*harm/hɑrm/[()] farm/fɑrm/[()]

==

==

27. n /n/[/] :

[]

1) 한 음절에서 뒤에 모음이 오면 앞에 붙인다.

*nag/næg/[^] noon/nu:n/[누운] night/nait/[나잍]

2) 한 음절에서 앞에 모음이 오면 받침으로 붙인다.

*noon/nu:n/[누운] man/mæn/[^]

.

[]

한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으로 읽는다.

*morn/mɔrn/[^()] warn/wɔrn/[우오^()]

.

[kn]

/n/으로 발음이 된다.

*knock/nɑk/[] knot/nat/[] knee/ni:/[니이]

==

==

28. p /p/[/] :

[]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pace/peis/[패이스] pen/pen/[] pipe/paip/[파잎]

2)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peep/pi:p/[피잎] hip/hip/[]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please/pli:s/[프을이이스]

.

2) 앞에 자음이 오면

*help/help/[핼프] harp/hɑrp/[()]

3) 두 음절 단어에서 모음의 뒤이지만 한 음절의 첫 자일 때

*ma.ple/méi.pl/[매이 ́.프을] a.pril/éi.prəl/[애이 ́.()]

.

*p는 뒤에 h 가 오면 ph/f/로 발음이 된다. *phone/foun/

==

==

29. r /r/[()] :

r 음은 강음과 약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강음> :

r이 단어의 첫 자이거나 한 음절의 첫 자 일 때 “()”한 다음

뒤의 모음에 을 붙여 읽는다.

“()는 입만 그렇게 만들고 소리는 내지 말자. 아주 약한 소린 좋다.

*right/rait/[()라잍] rab.bit/rǽb.it/[()^́.]

ko.re.a/kə.rí:.ə/[.()리이 ́.] or /kou...rí:.ə/[코우.()리이 ́.]

* “ i.ron ”r 이 단어엔 음절의 첫 자이나 발음부호는 / ái. ǝrn /으로

[아이 ́. ()]로 읽어져 강음이 아닌 약음이 나오게 한다.

 

<약음> :

(1) r이 뒤에 자음이 오거나, 단어(발음)의 끝일 경우 [()]로 읽는다.

. *girl/gərl/[()] *her/hər/[()] * car/kar/[()]

*our/auər/ => /auər/[아우()] ==> /ə/를 사선으로 ==> /ə/

*flour/flauər/ => /flauər/[프을아우()] ==> /ə/를 사선으로 ==> /ə/

*here/hiər/ => /hiər/[()] ==> /ə/를 사선으로 ==> /ə/

.

(2) r이 한 음절의 끝에서, 뒤에 자음이 올 경우 [()]로 읽는다.

*per.fect/pə́r.fikt/[()ㄹ ́.핔트]

per.fect/pər.fékt/[().퍀트 ́]

.

* 단 영한사전엔 대부분 발음부호 / r /

단어의 끝이나 자음 앞에 올 때는 사선 / r /으로 표시하고 있어나

/ r / 로 바르게 해도 상관이 없다. 둘 다 ok!

.

(3) r이 음절의 끝에 오면서 뒤에 모음(약음절)이 오면 그 모음에 붙여 읽는다.

*fac.tor.y/fǽk.tər.i:/[^́..()리이]

.

예외(1) : /ɛər/[에어()]로 한다.

: bare bear care fair pair tear wear there their

단 발음은 [] = []

.

예외(2) : /-iər/ [-이어()]로 한다.

한 음절 단어로 r 앞에 두 개의 모음이 있는 ear, eer, eir 등에서 나옴.

: ear, fear gear hear mear near rear tear

beer deer cheer sheer weird/wiərd/[우이어()]

.

이유 : 모음들은 각기 입 모양에 따라 정확한 음이 나오는데 []는 반드시

[]도 아니고 [][]도 아닌 입모양을 달리하지 않는 그냥 입만

벌리면 나오는 음이기 때문이고 약 음절은 모두 []로 해도 좋다.

==

==

30. s /s/[/] :

[]

s 가 모음 앞에 오면 모음에 붙여 읽는다.

*sack/sæk/[^] sat/sæt/[^] sea/si:/[시이] sit/sit/[]

.

*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s 뒤에 /i/[] 음이 오면 앞 모음 받침으로 쓴다.

*mis.sing/mís.iŋ/[́.] ex.ces.sive/ek.sés.iv/[.́.]

.

[]

1) s 뒤에 자음이 오면 따로 []라고 읽는다.

*sleep/sli:p/[스을이잎] steak/steik/[스태잌]

2) s 가 음절의 끝이나 단어의 끝에 오면 []로 읽는다.

*us/ʌs/[^아스] bus/bʌs/[^아스]

.

*c 는 뒤에 e, i, y 가 오면 /s/가 난다.

*cent/sent/[샌트] cir.cle/sə́r.kl/[()ㄹ ́.크을

 cy.cle/sái.kl/[사이 ́.크을]

==

==

31. t /t/[/] :

[]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ta.ble/téi.bl/[태이 ́.브을] tip/tip/[] top/ta:p/[타앞]

2)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tot/tat/[] hat/hæt/[^]

.

[]

1) 뒤에 자음이 올 때.

*train/trein/[()래인] truck/trʌk/[]()^]

2) 앞에 자음이 오면

*bolt/boult/[보울트] jolt/dʒoult/[조울트]

.

*참고 : t 는 앞뒤에 어떤 자 모음이 오는 가에 따라 크게 여섯 가지로 발음이 난다.

별도의 “t 의 발음법참조,

==

==

32. v /v/[ㅎㅂ/] :

[]하는 입모양에서 아래 입술을 위 입술 밑에 살짝 넣고 때면서 바람소리

가 약간 나게 하면서 []한다. *b/b/[]와 구분이 되게 []을 붙인다.

.

[ㅎㅂ]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

*van/væn/[^] vi.o.lin/vài.ə.lín/[바이 ̀..()́]

va.can.cy/véi.kən.si:/[배이 ́..시이]

2) 앞에 모음이 오면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

*cav.i.ty/kǽv.ə.ti:/[^ㅂ ́..티이] five/failv/[파잏]

.

[]

앞에 자음이 오면 [-]로 읽는다.

*valve/vælv/[^] twelve/twelv/[트우앨]

.

*참고 : base/beis/[배이스]vase/veis/[배이스]를 구분 되게 발음하자.

==

==

33. w /w/[] :

(1) 자음으로 []로 쓴다.

*w/w/[]는 자음으로 어떤 경우든 앞이나 뒤의 모음과 붙이지 않는다.

*what/hwat/[우앝] why/hwai/[우아이] where/hwɛər/[우에어()]

wade/weid/[우애읻]

(2) 다음과 같은 경우 앞 모음과 합쳐 하나의 음을 만든다.

*law/ɔ/[()^] know/nou/[노우], few/fju:/[피우우]

(3) []는 입술을 약간 내밀면서 빠르게 []한다.

oo 에서 /u//u:/음이 나는데

/u//u:/는 다른 음이고, /u/[]w/w/[]는 같은 음이다.

==

==

34. y /j/[] : y는 한 자음/j /, 세 모음 /ai/, /i:/, /i/ 이 난다.

(1) 자음 /j/[] :

1) y는 뒤에 모음이 오면 자음으로 /j/ 가 된다. 뒤 모음에 붙이지 않는다.

* yam/jæm/[이애^] yes/jes/[이애스] yellow /jél.ou/[이앨 ́.오우]

* /j/ []라고 표기 하였지만 실제는 [] []에 비슷한 음이다.

* yam/jæm/[여애^] yes/jes/[여애스] yellow /jél.ou/[여앨 ́.오우]

로 가깝게 들릴 수 있다. 그렇게 읽어도 좋다.

2) y가 아니라도 /j/[] 음이 자음 다음에 오면 그 자음과 붙여 하나의

글자를 만들어 읽자. *new/nju:/[니우우] [녀우우](ok)

.

(2) 모음 /ai/[아이] /i:/[이이], /i/[] :

1) 단 음절 단어(+ y)에서 끝 y = /ai/ *my/mai/[마이]

2) 한 음절 단어(+y ++e)에서 y = /ai/ *kyle/káil/[카일]

.

3) 두 음절 이상 단어 끝 y(강세 있음.)=/ai/ *sup.ply/sə.plái/[.프을아이 ́]

4) 두 음절 이상 단어에서 음절의 끝 y(강세 있음)=/ai/

*bry.an/brái.ən/[()라이 ́.] cy.cle /sái.kl/[사이 ́.크을]

5) 두 음절 이상 단어 끝 y(강세 없음) =/i:/ *ba.by/béi.bi:/[배이 ́.비이]

6) 한 음절 단어(+y +) = /i/ *gym/ʤim/[]

참고 : bi.cy.cle /bái.sik.l/

==

==

35. z /z/[ㅅㅈ/] :

* j /dʒ/[/()] s /s/[/]와 구별이 되게 이렇게 표현한다.

*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을 만들자.

.

*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뒤에 /i/[]음이 왔을 때 받침으로 쓴다.

*vis.it/víz.it/[ㅈ ́.] clos.et/klɑ́z.it/[크을앗ㅈ ́.]

.

[ㅅㅈ]

z이 음절의 첫 자로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

* zag/zæg/[^] ze.ro/zí:.rou/[지이 ́.()로우] zoo/zu:/[주우]

.

[]

z가 자음 다음이면서 단어의 끝에 오면 /s/[]

hertz/hərts/[()트스] glitz/glits/[그을잍스]

.

s가 모음 다음이면서 한 음절의 끝이나, 단어의 끝이면 따로 []로 한다.

*is/iz/[] was/wəz/[우어] or /wɑz/[우아] closed

 

*x 는 단어는 /eks/[앸스]로 읽고 단어에서는 /z/ 로 발음이 된다.

x 다음에 어떤 음이 오는가에 따라 /eks/ /egz/로 구분되어 개별

단어의 발음부호를 보는 것이 정확하다.

==

==

36. ng /ŋ/[] :

/ŋ/[]ng 가 단어의 끝이나 뒤에 자음이 오면 [o]로 발음한다.

*king/kiŋ/[] long/lɔŋ/[()^] king.dom/kíŋ.dəm/[́.]

==

==

37. ng /ŋ.g/[ㅇㄱ //,] :

[o]

ng 가 단어의 가운데 오면 [o]은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이고,

[]은 뒤 모음 앞에 붙인다.

*fin.ger/fíŋ.gər/[́.()]

.

[]

ng 가 단어의 가운데 오면 [o]은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이고,

뒤 음절의 앞에 자음이 오면 []로 쓴다.

*eng.lish/íŋ.gliʃ/[́.그을이쒸]

.

[,]

ngn . g 로 갈라지는 경우도 있다.

*in.gre.di.ant/in.grí:.di:.ənt/[.()리이 ́.디이.언트]

 

* “-n.g-”같이 단어에서 둘이 다른 음절로 분리된 경우 위 36, 37 과는 다르다.

“-n.” 는 앞 음절의 뒤에 붙고, “-.g-”는 뒤 음절의 앞에 붙인다.

*en.gage/en.géidʒ/[. 개이쥐 ́] gin.ger/dʒín.dʒǝr/[́. ()]

==

==

38. nk /ŋk/[ㅇㅋ/] :

[ㅇㅋ]

nk 가 같은 음절에서 뒤에 모음이 오면 []으로 뒤 모음에 붙인다.

* pink.y/píŋ.ki:/[́.키이]

.

[]

nk 가 같은 음절에서 뒤에 자음이 오거나 단어의 끝이면 [o]로 한다.

*thank.less/ɵǽŋk.lis/[^앙크 ́.()리스] think/ɵiŋk/[딩크]

==

==

39. ch, tch /tʃ/[/] :

[]

1) ch(tch) 뒤에 모음이 오면 모음 앞에 붙인다.

*chick.en/tʃík.in/[́.] child/tʃaild/[차일드]

2) ch(tch) 앞에 모음이 오면 받침으로 붙인다.

*pitch.er/pítʃ.ər/[́.()] catch.er/kǽtʃ.ər/[^́.()]

.

[()]

ch(tch)가 단어의 끝이면 [()]로 한다.

*bench/bentʃ/[밴취()] catch/kætʃ/[^아취] watch/wɑ:tʃ/[우아아취]

 

*참고 : ques.tion/kwés.tʃən/[크우애스 ́.]에도 “-tion/tʃən/”에서도 난다.

==

==

40. sh /ʃ/[/()/] :

s는 어느 경우도 []음이 나지 않는다. 단지 sh[]음이다.

.

[]

sh 뒤에 모음이 오면 모음 앞에 붙인다(같은 음절 내에서).

*she/ʃi:/[씨이] shake/ʃeik/[쌔잌] show/ʃou/[쏘우]

.

[()]

sh 가 단어의 앞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shred/ʃred/[()] shrimp/ʃrimp/[()림프]

.

[()]

1) sh 가 단어의 끝이면 [] [] 둘 중 ok!

*wash/wɑʃ/[우아쒸] cash/kæʃ/[^아쒸]

2) sh 가 한 음절의 끝이면 [] []로 한다. [] [] 둘 중 ok!

*re.fresh.ment/ri.fréʃ.mənt/[().()래쒸 ́.먼트]

3) “ʃ”가 모음 사이에 끼면 음절무시하고 앞 모음(강세 있음) 뒤에 따로 쓴다.

*ex.hi.bi.tion/èk.sə.bíʃ.ən/[̀..비쒸 ́.]

.

*참고 : / ʃ / 음 다음에 오는 모음을 아래와 같이 바꿔 읽는 경우가 있다.

shake/ʃeik/[쌔잌] ==>[쎼잌](x)

show/ʃou/[쏘우] ==>[쑈우](x) 또는 줄여서 [](x)

이렇게 읽지 말자! 영어엔 [] [] [] [] [] [] 등이 없다.

.

*참고 : 다음 같은 단어에도 /ʃ/이 나오는 수가 있다.

* schnei.der/ʃnái.dǝr/[쓰나이 ́.()]

* pa.tient/péi.ʃənt/[패이 ́.썬트]

==

==

41. th /ð/[ㅎㄷ/] : & 42. th /ɵ/[ㅅㄷ/] :

th 로 시작하는 음은

혀를 약간만 밖으로 내미는 척 하면서 상하 입술에 물린 상태에서 시작,

끝이 나는 음은

혀가 상하치아에 약간 물린 상태에서 끝나야 한다.

.

[ㅎㄷ], [ㅅㄷ]

1)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

*than/ðæn/[^] this/ðis/[디스] *think/ɵiŋk/[딩크]

2)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받힘으로 붙인다.

*with/wið, wiɵ/[우잏, 우잇] both.er/bɑ́ð.ər/[ㄷ ́.()]

.

[], []

1) 같은 음절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따로 [], []로 읽는다.

*thrill/ɵril/[()] throw/ɵrou/[()로우]

2) 같은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 []로 읽는다.

*health/helɵ/[]

.

*참고 :

/ð//ɵ/은 유무성음을 구분키 위한 표시 일 뿐 어차피 외국인의 영어

발음은 한계가 있다. 이를 구분해서 공부 할 필요까지는 없다.

==

==

43. /ʒ/[/()] :

/dʒ/와 동음 처리하면 된다.

.

*정확한 원음은 /z/에 가까우나

한국인은 이를 발음할 수 도 없고 굳이 이렇게 할 필요도 없다.

.

*meas.ure/méʒ.ər/[́.()] lei.sure/lí:.ʒər/[()리이 ́.()]

clo.sure/klóu.ʒər/[크을오우 ́.()] pleas.ure/pléʒ.ər/[프을앶 ́.()]

==

==

<(03) 한글 토 읽는 법>

==

한글 토는 어떤 발음의 기준을 글로 풀이 한 것으로

들리는 음을 늘 일정하게 하려는 의도로 학습 편의상 붙인 것이다.

부호를 글자로 옮기는 것 자체가 무리다.

원음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것을 표현 한 것일 뿐 100% 같을 수는 없다.

단어 읽기가 어는 정도 되면 한글 토는 무시하고 발음부호만 보고 읽자.

듣는 소리가 늘 일정해야 저장이 되고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한글 표준 기준과 맞지 않는 한글 토의 이해 촉구

부호를 글로 옮기는 건 한계가 있다.

...

모음 : /æ/[^], /ʌ/[^]

/ɔ/[^] /ɔi/[^어이]

이는 앞뒤의 글자를 붙여 하나의 음을 만들자는 표시다.

...

자음 : /f/[ㅎㅍ/] & /p/[/], /v/[ㅎㅂ/] & /b/[/]

/z/[ㅅㅈ/] & /dʒ/[/], /ð/[ㅎㄷ/] & /ɵ/[ㅅㄷ/]

음이 비슷한 두 자음을 발음 시 구분되게 하는 표시다.

 

43개의 종류별 발음부호를 중복되는 일 없이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였다.

영단 읽기가 어느 정도 되면 토 없이 읽거나 나에게 맞춰 고쳐 쓰도 좋다.

.

두 음절 이상 단어( 단어와 발음부호에 ( . )표시 )음절표시다.

(1) 음절에서 끊고, (2) 강세에 힘을 주고(약 음절에 비해 높게),

(3) () () 를 잘 지키고(약음), 토를 붙여 줄이지 말고 글자 하나씩 읽자!

.

한글 토의 활자 크기 조정 :

한글 토의 글자 크기를 강 약 음절이 다르게 한 것은

독자가 읽으면서 글자가 다른 자에 비해 큰 것은 더 높여

읽었으면 하는 뜻에서 읽기 훈련 목적으로 그렇게 하였다.

.

혹 이렇게 되어 있지 않은 한글 토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강음절에 힘을 줘 약음절과 구별이 되게 하고

“() ()”는 소리는 내지 말고(약한 소리는 좋다.) 입만 그렇게 만들자.

.

편집의 기본 활자 크기가 12로 되었을 때

1차 강세/12, 2차 강세/11, 약 음절 /10,

“() ()”는 어디에 있든 / 10으로.

.

기본 편집의 활자 크기가 11로 되었을 때

1차 강세/11, 2차 강세/10, 약 음절 /9,

“() ()”는 어디에 있든 / 9.

.

강세 표기를 미국은 음절 단위로 하고,

한국은 해당 모음위에 표기가 되어 있다.

영한 : a.go / əgóu / <==부호에 음절 표기가 없다.

미국 / ə gō ́/ <==발음부호간 음절별 간격을 두어 음절이 구분 된다.

.

*영한 : /-óu/ = 미국 /-ō ́/ 즉 모음 /o/위에 강세표시가 있다고

[]는 높게[]는 낮게 읽는 것은 잘 못. 둘 다 같이 [오우]로 읽자.

.

1. 영어는 쓰인 알파벳순으로 모두를 읽는다.

한국인이 따라 하긴 힘이 든다. 가능한 음절별로 묶어 한글 식으로 하였다.

더 줄이고 붙여 읽으면 아주 다른 발음이 된다. 꼭 지켜야 한다.

: no/nou/[노우][]또는 []로 읽는 것은 잘 못이다. [노우](o)

what/hwɑt/[우앝][]로 읽지 말자!

영어 발음의 기본이 되고 나면 한글 토는 하나의 발음의 기준으로 삼고 가능하면

원어민이 읽을 때 단어에 쓰인 알파벳 순으로 하나씩 다 읽는 것 같이 하자.

: smile/smail/[스마일] ==> [스므아이을]

.

2. 음절의 원칙에서 예외

(1) t는 앞 모음에 강세가 오면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읽는다.(음절 무시)

(2) r은 음절의 끝이나 뒤 음절에 모음에 오면 그 모음의 앞에 붙여 읽는다.

 

그러나 이렇게 읽지 않는 단어도 있다.

(1) : for.ev.er / fɔr. év. ər/[ ^(). ㅂ ́.()](o)

[ ^. ()ㅂ ́. ()](x)

(2) : for.eign / fɔ́r. in /[ ^()ㄹ ́. ](o)

[ ^́. () ](o)

정리 :

(1)r 이 약 음절의 끝에 있어 약음이 나야 한다.

뒤 강음절의 앞에 붙여 발음 하면 강음이 되기 때문이다.

(2)r 이 강음절에 속하지만 음절의 끝에 있어 약음이 나게 되어있다.

결국 뒤의 음절도 약음이기 때문에 r 음의 높낮이엔 변함이 없다.

.

3. () () 의 발음

(1) ()l 음을 정확히 내기 위한 방법으로

l 음으로 시작할 땐 혀가 입천장(앞쪽)에 붙여서 시작하고

끝 날 때는 혀가 입천장에 닿은 상태라야 정상적인 발음이 된다.

혀가 입천장에 닿은 상태에서 약하게 “()”하자. 센 발음은 안 된다.

.

(2) ()r 음을 정확히 내기 위한 방법으로

r 음으로 시작할 땐 혀가 입천장에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게 하고

끝날 때는 혀가 어디에도 닿지 않게 하려는 방법으로 ()를 쓴다.

혀를 입 안 어디에도 닫지 않게 하여 아주 약하게 들리게 낮게 “()”하자.

==

==

<(04) 한글 토에서 알아 둘 것>

==

자음의 한글 토를 모음 []위에 ㄱ ㄷ ㅌ 등을 올려 [,,]로 표현 한 것은

예로 b는 알파벳을 읽을 때는 /bi:/[비이]라고 하지만

단어에서는 "buh [, ]"라고 읽는다. (원어민 발음)

" buh "는 듣기에 따라 한글로 옮겨보면 []도 되고 []도 된다.

: book / b u k / [버 우 크 ][브 우 크] 가 된다.

.

영어는 한국어 같이 자 모음을 붙여 하나로 만들어 읽지 않고

쓰인 알파벳 순으로 하나씩 읽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다.

.

[][]음은 u/ʌ/[^]/ə/[]에 상충되기도 한다.

이는 정확히는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

소리를 글로 표현함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

예로, milk/ m i l k /

[/머 이 을 크]로 읽어 들리기엔 [믤크] [멜크]로 들릴 수 있다.

.

이는 자음(m)[][]도 아닌 음으로 []로 읽어 []에 붙이면 [],

[][]에 붙으면 []로 들린다. sit/sit/[], []으로 들릴 수 있다.

.

또한 /i/[] 도 한국 음의 []와는 정확히 같지 않다.

이는 입술을 약간 내밀면서 짧게 []한다.

.

영어 발음 초기 학습자는 우선 자신의 발음이 맞든 틀리든 확신이 가는

어떤 발음의 기준을 갖게 하여 말을 하게 만든 다는 것 잊지 말자.

==

< 발음부호와 한글 토가 왜 필요한지 예를 보자 >

 

(1) : record / 동철이음이의어 (同綴異音異義語)

철자(alphabet)는 같으나 음과 뜻이 다른 말,

==

1) rec.ord/rék.ərd/[()́.()]

[] 기록, 음반

--

2) re.cord/ri.kɔ́rd/[().^()́]

[] 기록하다, 등기[등록]하다, 녹음하다

 

(2) : [소스]

영어 외래어의 범람으로 아래 셋 모두 [소스]라고 한다.

1) 음식에 간이나 향을 맞추는 것을 sauce

2) 어떤 정보의 근원지를 source

3) 컵의 받침 접시는 sau.cer

==>

발음부호와 한글 토를 달아보자.

1) sauce /sɔs/[^어스]

2) source /sɔrs/[^()]

3) sau.cer /sɔ́.sǝr/[^́. ()]

...

-- 설명(발성()) --

1)/ɔ/[^] 음을 바르게 하면 된다.

/ɔ/[^] :

[]하는 입을 만들고 턱을 떨어트리면서 빠르게 []한다.

[][]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

턱에 손을 대고 발음 시 턱이 아래로 떨어지는 느낌이 와야 한다.

[][오우]는 턱이 아래로 움직이는 걸 느끼지 못한다.

.

2)는 한 음절 단어이지만 단어의 가운데 r 음이 나온다.

 

3)은 두 음절 단어로 강세가 나와야 한다.

/́.sǝr/[^́. ()] ==> 앞 음절에 강세가 와야 한다.

==

정리 :

외국인은 100% 영어 원음을 낼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첫 말에 내가 알아듣고, 상대가 알아듣게 하면 된다

...

정답 없는 어학, 발음이 나빠도 고치고 틀리고 하면서

많이 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

<미국의 한 음성학 전문 교수의 교수법>

외국어(영어)를 쉽고 바르게 배우려면

눈과 귀를 통해 동시에 기억케 하라! ” 고 주장한다.

...

즉 눈은 단어(알파벳) 및 발음부호를 보고 형상(shape)을 기억케 하고

귀는 육성이나 발음기기를 통한 음성(음파/pulse)을 동시에 기억케 하라는 것이다.

==

 

LV47alex할배 님의 다른 글 [더 보기]
생활영어 Upgrade (009회)
영단 바르게 읽기(제 14 강)
<초 간단 기초영어>(029회)
생활영어 Upgrade (008회)

나만의 한 줄 프로필을 등록해보세요! (클릭!)
목록
전체글 보기
제휴 및 광고 문의
사이트 후원안내
방송통신 심의 위원회 청소년 권장사이트

이용약관gray개인정보취급방침gray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gray

이용문의gray제휴문의gray광고문의gray무료학원광고 신청&관리gray에듀서포터즈

맨 위로
스터디홀릭 하단 스터디홀릭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선정한 <청소년권장사이트>입니다.
Copyrightⓒ Studyholic.com All Rights Reserved.
청소년권장사이트